고추장이 주재료가 되는 새빨간 음식의 대명사인 떡볶이. 그러나 떡볶이가 원래부터 이런 매운 맛은 아니었다. 대장금 드라마를 유심히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조선시대 궁중 떡볶이는 쇠고기와 표고, 양파, 당근 등 고기와 채소, 떡을 함께 넣고 간장에 졸여 만든 음식이었다. 특히 쇠고기와 표고의 검정색, 양파의 흰색, 당근과 홍고추의 붉은색, 풋고추의 파랑색, 황백지단의 고명으로 노란색을 모두 갖춰 오행(五行)의 색으로 우리 몸의 오장육부를 보하는 매우 과학적인 음식이었다. 우리에겐 길거리 음식으로 더 친숙한 떡볶이는 원래 궁중에서만 먹던 '귀한 신분'이었다고 한다. 즉 요즘 말하는 궁중 떡볶이가 그 시작이다. 19세기 말엽 조선 말기의 요리책인 '시의전서(是議全書)'에는 궁중에서 흰떡, 등심살, 참기름, 간장, 파 등으로 만든 떡볶이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음식명은 지금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떡볶이가 아닌 떡찜, 떡 잡채, 떡 전골 등으로 불렀다. 그럼 떡볶이는 언제부터 떡볶이라 불렀을까. 본래 떡볶이는 파평 윤씨 종가에서 만들어 먹던 별식이었다. 예부터 파평 윤씨 가문의 간장은 맛이 좋기로 유명했는데 이 간장을 이용해 떡과 소갈비와 채소를 넣어 만든 음식을 떡볶이라 불렀다. 떡볶이라는 이름이 처음 문헌에 등장한 건 1942년 방신영의 ‘조선요리제법’에서다. 떡과 고기, 채소를 넣고 간장으로 만드는 조리법이 전해지면서 이후 궁중식과 파평 윤씨 가문의 음식에 구분을 두지 않고 모두 떡볶이로 통용해 불렀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