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충사(분수제)


여충사 (분수제)는 선조 문숙공의 묘소와 사당 및 교자총이 있는 우리 씨족의 성역이며 호국유적으로서 경기도 파주군 광탄면 분수리에 있다.

문숙공의 묘소는 고려 예종6년(서기 1111년)에 예장한 것인데 이조 연산군이 당시에 파주군민을 강제 이주시키고 수렵지구로 삼았으며 또 병화가 잦았던 탓으로 수호가 소홀히 된데다가 당시 종가가 미약한 틈을 타서 일시 세도만 믿고 심모가 몰래 투장하였기 때문에 실전되었던 것이다.

청송심씨 가문에서는 광해군 6년(서기 1614년)경부터 현종3년(1662년)까지 사이에 묘후(墓後)에 새 무덤을 투장한 바가 있었다. 문숙공 묘소의 곡장을 헐고 묘비를 파손하여 묻었기 때문에 그 후에 우리 선인들이 심묘에 부심하였으나 좀처럼 단서를 잡을길이 없었다.

그런데 영조 계미 즉 서기 1763년에 이르러 심문에서는 그 투장한 사실을 더욱 음폐하기 위하여 심지원의 무덤앞에 있는 고총을 작은 무덤으로 사초하면서 딴곳에 있는 이호문의 고비를 옮겨다 그 고총앞에 세운 것을 우리 종중에서 발견하고 조사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이호문(고비)의 후손되는 자를 추궁한 결과 심문에서 토지를 사주면서 그 고총이 자기 조상의 무덤이라고 사칭하고 제사를 지내달래면서 청탁하기로 그 고비를 주었다는 사실을 실토받기에 이르렀다.

그와 동시에 묘하 길 옆에 있는 토분을 파헤쳐 그것이 종중 문헌에 전해오는 교자총 (교자는 여진정벌 당시에 임금께서 하사하였던 수레이다.)에 틀림없음이 확인되었다.

종전부터 그 고총은 『윤시중의 분묘』라는 전설이 없지 않았던 것이나 고증이 없었던 차에 이모의 실토와 교자총을 발견하여 그 고총이 문숙공의 분묘에 상위없음이 비로소 확인된 그와 같은 사실이 입증되어 종중에서 회의를 거듭한 끝에 좌윤 면교공이 선두에 나서서 영조대왕 앞에 상소하였고, 우상 동도공(후에 영의정)이 국왕에게 직접 상주한 일이 있다.

영조대왕은 이 사건을 경기감사에게 처리하라고 명령을 내리셨는데 비석과 지석이 없음으로 다만 이호문의 고비를 제거시키고 양가에서 그대로 수호하라는 판정을 내렸을 뿐이었다.

우리 종중에서는 그대로 순종할수 없음으로 다시 현장을 답사하다가 그 고총 좌편 10보 밖에 있는 도랑창에 묘비를 묻었다는 고로의 전언을 듣고 파헤쳐 드디어 문숙공의 묘비를 깨뜨려 묻었던 묘비조각을 발견하였다.

사적비
신도비
윤관묘
왼쪽: 윤관장군이 7세 때 지은 시     오른쪽: 윤관의 친필
윤관이 타던 가마와 말의 무덤
여충사

위치: 경기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