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이부작(述而不作)
root | 2020.09.02 04:32

\


述而不作 술이부작

(지을 )

( 이을 )

(아닌가 {아닐 , })

(지을 )

 

기술만 하였을 (창작()하지 않았다

 

논어 술이편에 나오는 말로공자가 자신의 저술이 일을 따라 기록했을 스스로 창작한 것은 아니라며 겸손을 보인 표현이다.

이후 대부분 저자가 겸양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으나조선의 성리학자들은 때로 이를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하여 상대방을 공격하는 표현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송시열의 제자인 윤증은 아버지 윤선거가 사망하였을 죽은 친부에 대한 묘비문을 송시열에게 부탁하였다송시열이 자신의 스승이며 당대 최고의 유학자였던 만큼 이런 부탁은 당연한 것이었다.

그런데 윤선거는 생전 행적에당시 기준으로는 흠이 만한 일이 있었다병자호란이 발생하자 부친 윤황은 인조와 함께 남한산성에 포위되었고윤증과 어머니부인은 강화도에 피신해 있었다거기서 일가족은 모두 자결하기로 합의를 보았고 그의 부인은 실제로 자결했다그러나 윤선거는 마지막에 마음을 바꿔 아버지와 임금이 있는 남한산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려고 결정하였고어머니와 함께 강화도를 나왔다그러나 청군이 겹겹이 포위하고 있는 남한산성에 들어갈 수는 없는 노릇이었고결국 자결도 포기한 숨어 살아 남았다.

윤선거는 평생 일을 부끄러워하여 이후 다시 출사하지 않고 향리에서 후학 양성에만 힘썼다송시열은 윤선거의 위와 같은 행적을 좋게 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예송 논쟁을 놓고 송시열이 남인을 배척함에도 동조하지 않았다남인 윤휴를 사문난적으로 지목한 송시열의 태도를 비판했기 때문에 사이가 결정적으로 틀어진 것이다 사람은 윤휴 남인에 대한 태도를 놓고 여러 논쟁했다.

어쨌든 이런 미묘한 상황에서 송시열은 분명 윤선거를 좋게 생각하지 않음에도 묘비문을 지어주는 것을 허락했다망자의 묘비문에는 좋은 말만 써주는 것이 관례였다좋지 않은 말을 정도로 사이가 좋거나 망자를 나쁘게 생각했다면 애초부터 묘비문 짓는 것을 거부하는 것이 옳았다그러나 송시열은 이를 수락하고서박세채가 윤선거의 행장을 인용했다문제는 여기서 술이부작이란 말을 썼다는 것이다.

망자를 추모하며 쓰는 묘비문의 경우다른 사람의 평을 인용할 수는 있다오히려 그것은 다른 사람의 좋은 평을 인용함으로써 추모와 함께 저자의 겸손을 드러내는 그대로 술이부작의 정신을 드러내는 방법이었다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망자의 묘비문에 다른 사람의 망자를 찬양하는 아름다운 글을 인용해 놓고술이부작이라는 말을 써서는 된다.

이것은 어떤 의미인가 하면 이렇다송시열이 인용한 것이 박세채가 윤선거의 행장인데송시열이 그것을 인용하면서 술이부작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이는 "박세채가 윤선거를 찬양함이 아름답다하지만 그것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는 없다그래도 망자의 묘비문이고박세채의 글도 좋아서 인용하기는 하겠는데(述而내가 글이 아니다(不作). 하여 나도 이렇게 생각하는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둔다." 라는 뜻이 된다생전에 있었던 갈등의 원망을 묘비문에 표현한 것이다

아버지의 묘비문에 이런 표현이 들어있는 것을 용납할 없었던 윤증은 이후 번이고 송시열에게 묘비문을 고쳐줄 것을 요청했다지은 사람만이 수정도 가능했던 것이다하지만 송시열은 결국 이를 수정해주지 않았다이는 송시열과 윤증의 사이가 틀어지는 이유가 되었고회니논쟁의 단초가 되었으며장차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지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전글 |   논산 명재 고택 한국의 친족 항렬…   | 다음글

26개의 댓글

None 2024.03.31 14:35

aTZ0ssch

None 2024.03.31 14:35

*1

None 2024.03.31 14:35

*1

None 2024.03.31 14:35

*1

None 2024.03.31 14:35

*1

None 2024.03.31 14:35

-1 OR 2+567-567-1=0+0+0+1

None 2024.03.31 14:35

-1 OR 3+567-567-1=0+0+0+1

None 2024.03.31 14:35

*if(now()=sysdate(),sleep(15),0)

None 2024.03.31 14:36

0'XOR(
*if(now()=sysdate(),sleep(15),0))XOR'Z

None 2024.03.31 14:36

0"XOR(
*if(now()=sysdate(),sleep(15),0))XOR"Z

None 2024.03.31 14:36

(select(0)from(select(sleep(15)))v)/*'+(select(0)from(select(sleep(15)))v)+'"+(select(0)from(select(sleep(15)))v)+"*/

None 2024.03.31 14:36

-1

None 2024.03.31 14:36

-1)

None 2024.03.31 14:36

-1 waitfor delay '0:0:15' --

None 2024.03.31 14:37

mKJGVxHg'

None 2024.03.31 14:37

-1 OR 133=(SELECT 133 FROM PG_SLEEP(15))--

None 2024.03.31 14:37

-1) OR 796=(SELECT 796 FROM PG_SLEEP(15))--

None 2024.03.31 14:37

-1)) OR 294=(SELECT 294 FROM PG_SLEEP(15))--

None 2024.03.31 14:37

FNrIiceM' OR 225=(SELECT 225 FROM PG_SLEEP(15))--

None 2024.03.31 14:37

ZBgw4REy') OR 124=(SELECT 124 FROM PG_SLEEP(15))--

None 2024.03.31 14:37

raHriZna')) OR 912=(SELECT 912 FROM PG_SLEEP(15))--

None 2024.03.31 14:38

*DBMS_PIPE.RECEIVE_MESSAGE(CHR(99)||CHR(99)||CHR(99),15)

None 2024.03.31 14:38

'||DBMS_PIPE.RECEIVE_MESSAGE(CHR(98)||CHR(98)||CHR(98),15)||'

None 2024.03.31 14:38

'"

None 2024.03.31 14:38

����%2527%2522\'\"

None 2024.03.31 14:38

@@4rs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