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의 종류
root | 2020.08.18 07:21

족보 또는 보첩(譜牒)

관향을 단위로 한 씨족의 세계와 사적을 기록한 역사책으로 여러 종류의 보책을 흔히 부르는 말이다.


대동보(大同譜) 또는 대보(大譜)

시조(始祖)가 같으면서도 본이 갈라져 본을 달리 쓰거나 성을 달리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모든 종파를 총망라하여 편찬한 족보를 말한다. , 본관은 다르지만 시조가 같은 여러 종족이 함께 통합해서 만든 책이다.


세보(世譜)

두 종파(宗派) 이상이 합의하여 족보를 편찬하였거나 어느 한 파()의 집단만이 편찬한 보첩을 말한다.


파보(派譜) 

시조(始祖)로부터 시작하여 한 계파의 혈연집단만을 중심으로 수록하여 편찬한 보첩을 일컫는다.


가승보(家乘譜)

본인을 중심으로 편찬하되, 시조(始祖)로부터 시작하여 자기의 직계 존속(尊屬 ; 자기 윗대)과 비속(卑屬 ; 자기 아랫대)을 망라하여 이름자와 사적(事蹟)을 기록한 것으로 보첩 편찬의 기본이 되는 문헌이다.


계보(系譜)

한 가문의 혈통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름자만을 계통적으로 나타내는 도표이다. 한 씨족 전체가 수록되거나 어느 한 부분만 수록되기도 한다.


가보(家譜)와 가첩(家牒)

편찬된 형태나 내용을 표현하는 말이 아니라 집안에 소장되어 있는 모든 보첩을 말한다.

이전글 |   족보란? 졔례의 기원   | 다음글